반응형
사생활 침해
개인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목적 외에 활용할 경우 사생활 침해를 넘어 사회, 경제적 위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 여행 사실을 트위트 한 사람의 집을 강도가 노리는 고전적 사례 발생
-> 익명화 기술 발전이 필요하다.
책임 원칙 훼손
빅데이터 기본 분석과 예측기술이 발전하면서 정확도가 증가한 만큼, 분석대상이 되는 사람들은 예측 알고리즘의 희생양이 될 가능성도 증가한다.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잠재적 위협이 아닌 명확한 결과에 대한 책임을 묻고 있어 이에 따른 원리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예.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오는 것처럼 범죄 예측 프로그램에 의해 범행을 저지르기 전에 체포, 자신의 신용도와 무관하게 부당하게 대출이 거절되었다.
-> 민주주이 국가의 형사 처벌은 잠재적 위협이 아닌 명확하게 행동한 결과에 대해 책임을 묻고 있다.
데이터 요용
빅데이터는 일어난 일에 대한 데이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적지 않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지만 항상 맞을 수는 없다. 또한 잘못된 지표를 사용하는 것도 빅데이터의 피해가 될 수 있다.
예. 베트남 전쟁 때, 맥나마라 장군은 적군 사망자 수를 전쟁의 진척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했고 그 결과 적군 사망자 수는 과장돼 보고되는 경향을 보여 결과적으로 전쟁 상황을 오보하는 결과를 일으켰다.
반응형
'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의 미래 (0) | 2021.10.01 |
---|---|
빅데이터 위기 요인에 따른 통제 방안 (0) | 2021.09.30 |
빅데이터 활용 기본 테크닉 7가지 (0) | 2021.09.28 |
빅데이터의 영향 (0) | 2021.09.27 |
빅데이터의 가치 (0) |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