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기획

IT 뉴스 모니터링

by 쓱쓱기획 2021. 4. 15.
반응형


IT 서비스기획, 금주 IT 뉴스 모니터링을
시작하겠습니다. 


구글코리아 연매출 2200억

네이버 5조, 카카오 3조 매출인데 구글코리아
지난해 연매출은 2200억 원 이유는 앱 마켓
미포함 때문 이라네요.

 

구글 코리아

 



구글 스타트업 지원, 500억 원 투자 유치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하는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창구 프로그램, 게임 및 앱 스타트업을
구글이 정부와 함께 지원하는 첫 사례라고 합니다.

구글은 참여 개발사를 대상으로 게임 퀄리티 개선,
글로벌 진출 및 마케팅, 수익화 전략 수립 등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중기부 구글플레이 창업진흥원

 





구글-애플, ‘한국판 백신여권’ 승인 거절에 개통 지연

우리 정부가 15일 0시부터 발급하려던 블록체인
기반 코로나 19 백신 접종 증명 계획이
시작부터 꼬였다고 하네요.

이유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형식으로
발급되는 백신 접종 증명에 대해 글로벌 앱 마켓 사업자인 구글과 애플이 승인을 거절, 앱 마켓에 백신 접종 등록이 지연되었다고 합니다.

심의를 거절한 사유는 질병관리청이 주도해서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이 맞느냐는 문제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국내 첫 코로나 백신여권

 


구글 ‘뉴스 사용료’ 현실화 쟁점

구글/페이스북에 뉴스사용료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한국에서도 본격화되고 있다.

 

구글 뉴스사용




네이버, 5월 6일 뉴스 유료 서비스 ‘프리미엄’ 오픈

주요 언론사들이 네이버 유료 뉴스 서비스
참여 여부와 콘텐츠 주제를 확정했습니다.

4월 13일 기준 경향신문, 매일경제신문,
머니투데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한국경제신문이
참여를 확정 지었습니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합류로 방향을 잡고
내부에서 막바지 논의 중이고,
한국일보는 참여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언론사들이 선택한 주제는 상대적으로 유료
수요가 높은 경제분야가 대다수라고 합니다.
추가 자원 투입에 부담을 느낀 언론사들은 전혀
새로운 유료 뉴스를 생산하기보다 기존 자사
콘텐츠를 네이버 플랫폼에 맞게
수정/보완하는 방식을 택한다고 합니다.

한 언론사의 네이버 유료화 담당자는
“그동안 부정적인 전망 때문에 지지부진하다가
다들 서비스 오픈 데드라인에 맞춰하던 거라도
넣어보자는 생각이 많았던 듯하다’며 지금은
네이버 뉴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가 많고 이들이
어떤 상품을 선호하는지도 잘 모른다.

일단 서비스 시작 후 이용자 반응을 지켜봐야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애플 현대차와 말 많던 애플 카,
이번엔 LG와 협력 임박설

 

애플카

 



카카오-네이버 ‘콘텐츠 창작자’ 유료플랫폼 연다

카카오가 올 상반기 카카오톡 기반으로 출시할
구독 플랫폼 ‘구독 탭(가칭)’과 마찬가지로
네이버 역시 유료형 콘텐츠
플랫폼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네이버 콘텐츠 플랫폼은 카카오가 준비 중인
구독 탭을 통해 창작자는 카카오톡 채널에서
큐레이션 보드를 발행하고,
구독자는 해당 채널을 통해 창작자와 콘텐츠를
정기 구독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합니다.

 

이모티콘 월정액 상품 '이모티콘 플러스' 출시

 

네이버도 콘텐츠 플랫폼에서 창작자들이
유료 구독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때 콘텐츠 창작자들은 서비스 형식, 구성, 가격
등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네이버 TV와 네이버 페이 등 간편
결제 등도 접목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반응형

'서비스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구글에 1위 뺏기나  (0) 2021.04.19
End of AI chatbot fulfillment service  (0) 2021.04.17
Types of big data  (0) 2021.04.04
Overview and characteristics of big data  (0) 2021.03.28
외항사 웹사이트 벤치마킹  (0) 2021.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