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회의론의 원인과 진단
투자효과를 거두지 못했던 부정적 학습효과 : 과거의 고객관계 관리(CRM) 부정적 학습효과
- 공포 마케팅이 잘 통하는 영역 : 도입만 하면 모든 문제는 한번에 해소할 것처럼 강조
- 막상 거액을 투자하여 하드웨어와 솔루션을 도입해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떻게 가치를 뽑아내야 할지 난감
빅데이터 성공사례가 기존 분석 프로젝트를 포함해 놓은 것이 많다.
- 굳이 빅데이터가 필요 없는 경우 (우수고객, 이탈예측, 구매패턴 분석 등)
- 국내 빅데이터 업체들이 CRM 분석 성과를 빅데이터 분석으로 고대 포장
빅데이터 분석도 기존의 분석과 마찬가지로, 데이터에서 가치, 즉 통찰을 끌어내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관건이며, 단순히 빅데이터에 포커스를 두지 말고 분석을 통해 가치를 만드는 것에 집중 해야만 함
왜 싸이월드는 페이스북이 되지 못했나?
- OLAP과 같은 분석 인프라가 존재하였으나 중요한 의사 결정이 데이터 분석에 기초하지 못했다.
- 웹로그 분석을 통한 일차원적 분석 -> 사업 상황 확인을 위한 협소한 문제에 집중되었다.
- 2004년 당시 비즈니스의 핵심 가치와 관련된 어떤 심도있는 분석도 수행되지 않았다.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지만 회원들의 소셜 네트워킹 활동 특성과 관련된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나
평가지표 조차 없었다.
- 트랜드 변화가 사업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적시에 알아차리지 못했다.
전략적 분석을 통해 놀라운 성과를 올린 하라스 엔터테인먼트의 회장 러브먼이 언급한 분석 기반
경영이 도입되지 못하는 이유
- 기존 관행을 그냥 따를 분 중요한 시도를 하지 않는다.
- 경영진의 의사결정이 정확성이나 공정한 분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오히려 정반대로 직관적 결정을
귀한 재능으로 칭송받는 경향이 있다.
- 분석적 실험을 갈망하거나 능숙하게 해내는 사람이 거의 없어, 적절한 방법조차 제대로 익히 못한
사람들에게 분석 업무가 주어 진다.
- 사람들은 아이디어 자체보다는 아이디어를 낸 사람이 누구인지 관심을 두는 경향이 있다.
'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차원적 분석 vs 전략도출 가치기반 분석의 차이 (0) | 2021.10.04 |
---|---|
빅데이터 회의론 해소방안 (0) | 2021.10.03 |
빅데이터의 미래 (0) | 2021.10.01 |
빅데이터 위기 요인에 따른 통제 방안 (0) | 2021.09.30 |
빅데이터 시대의 위기 요인 (0) | 2021.09.29 |